인플레이션 8

아파트 이름 인플레이션

영상: https://youtu.be/87TCCOApXOc?t=985 첫부분은 저번 정부에서 부동산 통계를 직접 조작했다는 내용입니다. 충격적이군요 집값이 내려간다고 발표하기 위해 통계를 조작했군요 당시에 사람들이 집값 잡히고 있다는 말을 믿지 않았던게 생각나네요 16분에는 아파트 이름을 더 좋은걸 붙이기 위해 계속 등급을 올리다보니 한남에 강남지역 브랜드를 붙여줬더니 강남이 참지 못하고 더 상위 이름을 만들어 붙였다는 내용입니다. 그래서 등급도 하이엔드에서 하이퍼 엔드 등급으로 ... 부동산 어질어질 합니당

유튜브 2023.09.21

금리를 올리면 인플레이션이 올라가는 시기에 접어들었다.

일시적이긴 하지만 미국 주택경기가 박살이 나고 있습니다. 이상황까지 오면 집 사지말고 월세로 살면서 좀기다려볼까 하는 수요가 생깁니다. 그러면 일시적으로 주택 렌트 수요가 늘어 CPI 지표가 올라버리는 현상이 있습니다. 이 경우 금리를 올려봐야 인플레를 못잡게 되죠 관련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qp9bHEIl6Dg 현재 중국에 고성능 AI 반도체 수출을 막는 조치 때문에 12월 까지 중국이 고성능 AI 반도체를 대량으로 구매하려고 한다는 소문도 있구요 나중을 위해 지금 막 사제기하는 현상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유튜브 2022.10.24

근원 CPI 의 부동산 부분은 금리를 올리면 같이 올라간다.

https://www.youtube.com/watch?v=xqTnCngGSbI 영상의 내용은 CPI 이야기랑 영국의 문제를 이야기하구요 반대매매 대한 이야기를 합니다. 특히 소회된 삼성전자보다 최근에 잘 오른 태조이방원 테마가 익절하면서 더 떨어지는게 좋은게 아니라는 내용인데 (하지만 익절은 항상 올은것 입니다.) 계획 저는 떨어진 이차전지 다시 주울 예정입니다. 삼전이 덜 빠지기 때문에 삼전 정리하면서 주으면 삼전도 정리 하면서 이차전지도 싸게 주을 수 있으니 이득 추가 내용 근원 CPI 의 부동산 부분은 금리를 인상하면 부동산 비용이 올라가 버립니다. 금리를 인상하면 인플레이션이 내려가야하는데 올라가버리는 요소도 있다는 거죠. 금리 인상으로 부동산 부담이 증가한 부분 만큼 인플레이션이 증가하는 아이러..

유튜브 2022.09.29

양적완화를 이해해보자

2008년 서브프라임 사태를 해결한 양적완화를 이해해보자.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RpToe3CosdM 서브프라임 모기지 채권은 부도가 났지만 사라지는건 아니기 때문에 그 채권의 만기를 해결하기 위해 돈을 찍어 돈이 있는걸 보여주고 다시 빼낼 수는 없게 막았음 어차피 그 채권은 부도가 났기 때문에 원래 찾아갈 방법이 없음 2020년 코로나 사태때에는 돈을찍어 나눠졌기때문에 2021년에 높은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고 이것을 해결하기위해 2022년 금리를 대폭 인상시킵니다. 그러면 주식이 50% 이하로 빠져야하는데 30%정도 빠지고 멈춘게 신기하긴합니다. 아직 덜 빠진건지 풀린돈이 주식시장으로 갔기 때문에 이 주가를 버텨주는건지 아직은 알 수 없습니다. 적어도 금리는 주식..

유튜브 2022.09.23

80년대 볼커의 금리인상을 하기 이전의 상황에 대한 이야기

https://www.youtube.com/watch?v=G47vJ7YEyPE&t=1119s 18분 정도에 나오구요 물가가 오르면 미국은 물가를 잡으려는게 목표가 아니고 먼저 오른만큼 다른것도 올릴 수 있도록 하는게 목표라는 겁니다. (부동산에서 자주 이야기하던 키맞추기 느낌?) 모든게 비싸지면 달러는 더 많이 사용되고 나쁠게 없다는 판단이겠죠 힘들어하는 쪽에 보조금을 준다는군요.. 계속 오르다보면 결국엔 엄청난 금리를 인상 해서 잡는 방법을 쓰긴하겠지만요 지금같이 0.75bp 올리는 그런 수준이 아닐꺼 같구요. 지금 금리이상은 초입 단계이고 굉장히 긴 기간동안 이 사이클로 반복될 것 같습니다. 오일 이외에 오르는 것을 신경써야겠군요. 지금은 채권 인버스 정도가 눈에 띄네요.

유튜브 2022.06.18

주가 부양따윈 없을 것 같은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AWg4K6Ydofo&feature=youtu.be 이 영상은 미국의 물부족 상황을 보여주는 영상입니다. 이렇게 된 이유가 인간활동의 증가에 따라 생겨났다고 하네요. 증시를 부양했다간 활동이 늘어나고 그러면 다시 환경오염이 심해지는 상황이라 오히려 환경문제가 해결되기전까진 부양같은건 없을꺼 같아요. 주가고 돈이고 이런게 문제가 아닌거 같습니다. 과거의 기록같은거랑 좀 상관 없는 상황 아닐까 생각됩니다. 어쩌면 환경을 위해서라도 공포심리를 높여서 인간활동 자체를 줄이는게 맞는 선택일지도 모르겠군요. 이러면 다시 넷플릭스가 친환경이 되는 수가 있겠군요 ㅎㅎ

유튜브 2022.05.25

40분짜리 미국이 인플레이션을 잡을 수 없었던 이유에 대한 3줄 요약

여러분의 시간을 아껴드리기위해 요약했습니다. 파월 임기 연장때문에 어쩔 수 없이 결정을 잘못할 수 밖에 없었던 이야기 1. 임기 연장이 어쩔 수 없이 인플레이션을 잡지 못하게 했다는 것 2. 원자재 투기세력을 잡으려면 예고 없는 금리 인상을 해야하지만 지금의 연준은 너무 친절하다. 3. 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자산을 깎아놓으면 원자재 투기자들이 사라져서 인플레이션이 잡히긴하나봅니다. https://youtu.be/QH1YEKQqUkI?t=1578

유튜브 2022.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