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igature 라고 불리는 이 기능은
fira code 라는걸 우선 설치해야하는데요
대충 이렇게 생겼습니다.
텍스트로 === 나 -> 이런식으로 쓰면
특수기호로 바꿔줍니다.
유튜브 같은데서 많이 보셨을꺼예요
보는 사람 관점에서 예쁘게 보이기 때문에
유튜브 코딩영상 찍을때 도움이 됩니다.
Ooperator Mono 는 글씨체가 좀 특이한게 있을텐데요
역시 가독성 때문에 사용합니다.
처음엔 글씨가 이상해진게 아닌가 싶지만
써보고 나면 거슬려서 눈에 잘보인다는 사실을 알게 되실겁니다.
L 이나 s y 같은 글자가 좀 찌그러진게 보이실꺼예요
처음엔 거슬리지만 내부의 텍스트는 영향을 안받기때문에
코드와 텍스트가 확실히 구분됩니다.
아래의 영상 보고 따라하시면 되요
동영상 설명란에 github 링크를 주는데 폰트가 모여져있습니다.
참고영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