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선행지식 엘릭서는 얼랭의 상위 호한 언어입니다.
얼랭에서 되는건 엘릭서에서 다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Rjyf_dELAeg
1:17:00
텔레그램과 디스코드 는 아주 많은 유저를 처리해야하는 서비스인데
소규모팀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얼랭의 여러대의 컴퓨터를 하나의 컴퓨터 처럼 동작시킬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얼랭은 다른 컴퓨터의 함수를 실행시킬 수 는 언어입니다.
마치 모든 함수가자동으로 rest 서비스를 한는것 처럼 구현되어있는데요
이 점을 이용하면 아무 컴퓨터에대가 명령을 던져 실행시킬 수 잇습니다.
그점을 이용한거 같군요
초반에 장점중에 아주큰 숫자를 문제 없이 처리할 수 있는 기능도 있습니다.
중간에는 웹소켓에 대한 이야기도 나오는데요
웹이 처음부터 웹소켓이 되었다면 지금처럼 페이지 받고 데이터 받고 하는 식으로 개발이 되었겠느냐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엘릭서를 잘 이용하면 클라이언트 쪽에는 아주 작은 자바스크립트 하나만 있고
웹소켓으로 서버쪽 함수를 호출해 이것 저것 가져올 수 도 있을거 같습니다.
러스트도 다 죽은 마당에 엘릭서를 배워볼까 하는 생각이 드는 영상이였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