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개발메모

AI 앱 개발 수익화 과정에 대한 설

SIDNFT 2025. 3. 25. 12:42
반응형

 

사전지식

CURSOR

커서는 AI 를 이용해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도구 입니다.

본인 컴퓨터에 설치해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입니다.

OpenAI

여기서는 회사이름이 아니고 ChatGPT 의 유료사용자용 기능입니다.

앱에서 OpenAI 서버로 요청을 보내고 받을 수 있는 기능인데 사용료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유료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는거 같습니다.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BER5z_0tnyQ&t=363s

한달에 25억매출 이나 10분만에 만들기 이런건 낚는용도이니 속지 마시구요

해심은 AI 답변을 이용하면 사람들이 돈을 낸다는 사실입니다.

직접 돈을 안내더라도 광고를 보여주면 되기도 하구요

유료 구독을 하게 만들어도 되구요

왜냐하면 답변당 비용이 나가는 세상이라 이 프로세스가 당연히 동작할 수 있습니다.

 

개발과정

이 영상은 사진이나 글로 뭘 먹었으니 칼로리를 알려주고 운동을 추천해주는 앱을 개발하는 영상입니다.

당연히 개발 방법을 모르기 때문에 cursor 를 이용합니다.

openai 로 응답을 받는 앱을 개발해달라고 하면 적당한 앱을 만들줍니다.
(시작하기 쉽죠)

openai 는 질문이오면 관련 지식으로 답할 수 있도록 프롬프트를 작성해둡니다.
(일단 지식이 아니고 관련지식으로 답해야하죠)

인앱이랑 광고 붙여서 앱스토어에 출시합니다.
(이부분은 좀 배워야하고 스토어 출시 경험도 있어야합니다.)

 

마무리

AI 앱 수익화 시스템은 간단합니다.

1. 사람이 물어볼만한 것을 생각해낸다.

2. 관련지식을 모은다.

3. 앱을 만든다 <- 이부분이 AI 가 하는일이죠

앱 출시 경험 자체가 필요하기 때문에

일단 아무거나 만들어 올리는거에 집중하는게 좋습니다.

몇번 하다보면 광고 승인 인앱 처리 등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습니다.

시작도 안하면 정말 긴 전절차를 밟아야해서 처음이 가장 힘드니

빨리 시작하세요

반응형